맨위로가기

야생 갈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생 갈대는 1962년 프랑스 남서부를 배경으로, 고등학생 프랑수아와 그의 친구 마이테,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이 영화는 동성애, 정치적 갈등, 알제리 전쟁 등 다양한 사회적, 개인적 갈등을 다루며, 네 명의 주인공들이 상처를 극복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앙드레 테시네 감독의 자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1995년 세자르상에서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드레 테시네 감독 영화 - 바로코
    1976년 앙드레 테시네 감독이 연출하고 이자벨 아자니, 제라르 드파르디외 등이 출연한 프랑스 영화 《바로코》는 몰락한 권투 선수와 그를 이용하려는 여성, 정치적 음모와 배신을 그린 작품으로, 1977년 세자르상에서 여우조연상, 촬영상, 음악상을 수상했다.
  • 앙드레 테시네 감독 영화 - 브론테 자매 (영화)
    앙드레 테시네 감독의 1979년 프랑스 영화 브론테 자매는 19세기 영국 작가 샬럿, 에밀리, 앤 브론테의 삶과 예술, 비극적인 가족사를 이자벨 아자니, 마리-프랑스 피지에, 이자벨 위페르 등이 출연하여 묘사한다.
  • 프랑스의 성장 영화 - 라붐
    13세 소녀 빅이 파리에서 가족, 사랑, 성장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프랑스 영화 라붐은 소피 마르소 주연으로 국제적인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제곡 "리얼리티"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다.
  • 프랑스의 성장 영화 - 라붐 2
    라붐 2는 1982년 개봉한 프랑스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15세 빅이 필립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모님과 증조할머니의 이야기를 다루며, 소피 마르소가 빅 역을 맡아 프랑스에서 흥행에 성공했다.
  • 1994년 성소수자 영화 - 천상의 피조물 (1994년 영화)
    프랜 월시 감독의 영화 《천상의 피조물》은 1954년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파커-헐름 살인 사건을 바탕으로 케이트 윈슬렛과 멜라니 린스키가 주연을 맡아 두 소녀의 강렬한 우정과 범죄에 이르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오르고 웨타 디지털의 시각 효과로도 주목받았다.
  • 1994년 성소수자 영화 - 엑조티카 (영화)
    아톰 에고이안 감독의 1994년 캐나다 영화 《엑조티카》는 토론토의 스트립 클럽 '엑조티카'를 배경으로,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와 심리를 통해 욕망, 집착, 고독, 상실감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야생 갈대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Les Roseaux sauvages
영어 제목Wild Reeds
한국어 제목야생 갈대
영화 정보
감독앙드레 테시네
제작조르주 베나윤, 알랭 사르드
각본올리비에 마사르, 질 토랑, 앙드레 테시네
촬영잔 라푸아리
편집마르틴 지오르다노
출연엘로디 부셰즈, 가엘 모렐, 스테판 리도, 프레데릭 고니
배급사
프랑스 영화사
개봉일1994년 6월 1일
상영 시간110분
제작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제작비380만 달러
흥행 수익520만 달러

2. 줄거리

1962년 프랑스 남서부, 수줍음 많은 고등학생 프랑수아(가엘 모렐)는 가장 친한 친구 마이테(엘로디 부셰)와 영화와 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을 보낸다. 마이테와 그녀의 어머니 알바레즈 부인(미셸 모레티)은 공산주의자이다. 기숙 학교에서 프랑수아는 농부의 아들 세르주(스테판 리도)를 만나 은밀한 관계를 맺는다.

자신의 동성애를 발견하고 혼란스러워하는 프랑수아는 이 사실을 마이테에게 털어놓고, 마이테는 그에게 커밍아웃을 권유한다. 한편, 세르주는 점차 마이테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마이테는 복잡한 감정에 휩싸인다.

세르주의 형이 알제리에서 전사하고, 마이테의 어머니는 신경 쇠약을 겪는다. 알제리 출신 프랑스 이민자인 앙리(프레데릭 고르니)가 전학 오면서 갈등은 더욱 깊어진다. 앙리는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는 피에 누아르의 권리를 옹호하는 비밀 군사 기구를 지지하며, 프랑수아의 동성애를 비난하고,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마이테와 격렬하게 충돌한다. 그러나 앙리와 마이테는 서로에게 강하게 끌려 예상치 못한 관계를 맺게 된다.

영화는 네 명의 주인공들이 각자의 상처와 고민을 극복하고, 완고했던 생각에서 벗어나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프랑스어 수업 시간에 읽은 라 퐁텐의 우화 중 하나인 "참나무와 갈대"를 통해 설명된다.

3. 등장인물


  • 마이테 알바레스: 엘로디 부셰 - 기숙학교 여학생. 공산주의자인 어머니의 영향을 받은, 독립적이고 지적인 소녀이다.
  • 프랑수아 포레스티에: 가엘 모렐 - 기숙학교 남학생. 마이테의 친구.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섬세하고 내성적인 소년이며, 동성애자이다.
  • 세르주 바르톨로: 스테판 리도 - 프랑수아의 동급생. 농부의 아들이며, 프랑수아와 복잡한 관계를 맺고 마이테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 앙리 마리아니: 프레데릭 고르니 - 알제리 출신 프랑스 이민자로, 극우적인 정치적 신념을 가진 전학생. 세르주와 같은 방을 쓴다.
  • 알바레스 부인: 미셸 모레티 - 마이테의 어머니이자 프랑수아의 프랑스어 선생님. 공산주의자이다.
  • 모렐리 선생: 자크 놀로 - 알바레스 선생님의 대리 교사.
  • 피에르 바르톨로: 에릭 크라이켄마이어 - 세르주의 형. 신혼의 몸으로 전선에 투입된다.
  • 이렌: 나탈리 비뉴 - 피에르의 아내.
  • 카사뉴: 미셸 르헐
  • 아이샤 모렐리: 파티아 마이테

4. 제작

앙드레 테시네 감독은 원래 사춘기를 다룬 TV 영화 시리즈의 일부로 이 작품을 구상했으며, "Le chêne et le roseau"(《참나무와 갈대》)라는 제목으로 《야생 갈대》의 처음 55분을 구성했다. 그러나 각본을 완성한 후 테시네는 이를 극장 개봉용 장편 영화로 만들기로 결정했다.[1]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프랑스에서 그의 가장 큰 개인적인 성공작이자 가장 내밀한 영화이다.[1]

이 영화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알제리 전쟁을 다룬 몇 안 되는 영화 중 하나이다.[2] 여기에는 《작은 병정》(1963), 《오레스에서 스무 살》(1972), 《라 퀘스천》(1977) 등이 있다.[2]

5. 음악

영화에는 1960년대 초반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는 다양한 음악들이 사용되었다. 사용된 음악은 다음과 같다.

6.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의 신선도와 8.2/10의 평균 평점을 받았다.[3][11] 메타크리틱에서는 19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83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아 "만장일치에 가까운 호평"을 얻었다.[4]

프랑스에서는 제한적으로 개봉했음에도 불구하고, 개봉 첫 주말 프랑스 박스 오피스 2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5]

6. 1. 비평가들의 반응

로튼 토마토에서는 10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100%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2/10이다.[3] [11] 메타크리틱에서는 19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83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부여하여 "만장일치에 가까운 호평"을 받았다.[4] 19건의 평론 중 호평은 16건, 엇갈린 평가는 3건, 혹평은 없으며,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81점이다.[12]

6. 2. 흥행

프랑스에서 제한적으로 개봉하여 총 40개 극장에서 상영되었으며, 개봉 첫 주말에 37,688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프랑스 박스 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총 589,301명의 프랑스 관람객을 기록했으며, 그 해에 51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였다.[5] 1994년 11월 1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한 개의 스크린으로 개봉하여 개봉 첫 주말에 7000USD의 수익을 올렸다.[6] 1995년 5월 10일 미국에서 개봉하여 7개 극장에서 38192USD의 수익을 올렸으며, 최종적으로 미국에서 총 917915USD의 수익을 올렸다.[7]

7. 수상 및 후보

1995년 세자르상에서 작품상, 감독상(앙드레 테시네), 여자 신인배우상(엘로디 부셰)과 각본상을 수상했다.[8] 1994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후보에 올랐다.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 전미 비평가 협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루이 델뤼크 상을 수상했다.

영화제・상부문후보결과
세자르상작품상수상
감독상앙드레 테시네수상
각본상앙드레 테시네
질 토랑
올리비에 마사르
수상
조연 여우상미셸 모레티후보
유망 신인 남우상프레데릭 골니
가엘 모렐
스테판 리도후보
유망 신인 여우상엘로디 부셰수상
칸 영화제주목할 만한 시선후보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수상
전미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수상


8. 한국 사회와 영화의 의미

알제리 전쟁은 프랑스 사회에 깊은 상처와 분열을 남겼는데, 이는 한국 근현대사와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한국 역시 일제 강점기, 한국 전쟁, 군부 독재,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역사를 겪으면서 사회적으로 큰 갈등과 상처를 경험했다. 영화 속 인물들의 갈등과 성장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겪는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반영한다. 특히, 동성애, 이념 갈등, 세대 차이 등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이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평화와 화해의 가치를 강조해왔다. 이 영화는 이러한 가치들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Les Roseaux sauvages (Wild Reeds) (1994) - JPBox-Office http://www.jpbox-off[...] 2011-10-02
[2]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3] 웹사이트 Wild Reeds 2010-11-19
[4] 웹사이트 Wild Reeds https://www.metacrit[...]
[5] 웹사이트 Les Roseaux sauvages (Wild Reeds) (1994) - JPBox-Office http://www.jpbox-off[...] 2011-10-02
[6] 간행물 'Trek' lands starry bow 1994-11-22
[7] 웹사이트 Les roseaux sauvages (1995) - Financial Information http://www.the-numbe[...]
[8]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Wild Reeds http://www.festival-[...] 2009-08-31
[9] 웹사이트 Les roseaux sauvages (1994) - Company credits https://www.imdb.com[...] IMDb 2012-08-28
[10] 웹사이트 野性の葦 http://www.kinenote.[...] KINENOTE 2013-04-07
[11] 웹사이트 Wild Reeds (Les Roseaux Sauvages) (1995)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0-10-03
[12] 웹사이트 Wild Reeds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0-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